본문 바로가기
책 밑줄긋기

정희진 <혼자서 본 영화> 중에서 <슬픔의 노래>

by 가제트21 2022. 11. 30.

정희진 <혼자서 본 영화> 중에서

 

연극 <슬픔의 노래>의 원작은 정찬의 동명 중편 소설, 제26회 동인문학상 수상작인 <슬픔의 노래>다. 연극하는 사람이라면 이 소설을 무대에 올리고 싶은 이들이 많았으리라. 소설 <슬픔의 노래>는 문장의 서술이 ‘연극적’이라는 평이 많았는데, 소설의 주인공도 연극배우다. 원작이 명문장이라 연극도 좋은 대사가 많다. “배우는 무대를 견뎌야 한다. 견디지 못하는 순간 무대가 배우를 삼켜버린다.” 인생과 예술에 대해 이만 한 비유가 없다.

이 연극은 1995년~1996년 처음 공연되었고 많은 상을 받았다. 20주년을 기념하여 2016년에 원년 멤버인 ‘레전드’ 팀과 ‘뉴 웨이브’ 팀으로 더블 캐스팅해 무대에 다시 올렸다. 나는 두 번 모두 보았다. 두 번째도 원년 멤버인 박지일이 나오는 ‘레전드’ 팀 공연으로 보았다
230 page

=============================================

주인공 박운형은 ‘80년 광주’에서 군인으로서 가해자였다. 작품은 주인공의 죄의식을 다루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광주의 기억 때문에 배우가 되었다. “칼이 몸속으로 파고들 때 칼날을 통해 생명의 경련이 손 안 가득 들어오지요……. 생명의 모든 에너지가 압축된 움직임…… 한 인간의 생명이 이 작은 손 안에 쥐어져 있다는 것이죠……. 그것은 상상할 수 없는 쾌감입니다.” 그는 무대 위에서만은 죄의식의 갑옷을 벗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방황 끝에 배우가 되었다. 즉, 그가 연기를 계속하는 이유는 살인의 쾌락을 계속 즐기기 위해서다.
231 page

======================================

주인공은 세상을 아는 듯 ‘비관적이다’. “강을 건너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지요. 배를 타는 것과 스스로 강이 되는 것. 대부분 작가들은 배를 타더군요. 작고 가볍고 날렵한 상상의 배를.” 나는 이 대사처럼 상상력을 정확하게 정의한 경우를 알지 못한다. 상상력은 상상하는 행위가 아니다. 상상력은 다른 생각이다. 내가 서 있는 자리, 위치를 바꿀 때 새롭게 생성되는 다른 정치적 입장, 공간을 의미한다. 위 대사가 비판하는 상상력이란 현실에 발을 담그지 않은, 현실에 무지한 혹은 현실을 이용하는 이들이 예술이라는 이름으로 행사하는 ‘생각 없음’일 뿐이다.

스스로 강이 될 것인가, 배를 탈 것인가……. 어떻게 살 것인가. 누가 자기 몸을 강으로 삼겠는가. 스스로 강이 되기를 선택한 사람은 얼마나 외로울 것인가. 아니, 요즘 같은 세상에 강이 된 경우와 배를 탄 경우를 구별이나 할 수 있겠는가.
234 page

==========================================

Art Chosun에서 가져옴(Art chosun은 사진제공=림에이엠시(Lim-AMC)이라고 표기함)

==============================

이 글을 읽고 <슬픔의 노래>에 대해 찾아보았다.

소설이면서 연극.

줄거리를 요약한 웹사이트는 많았지만(이대학보,Newsis,art chosun,예술지식백과 등등) 그 중에서 이대 학보에 나온 것이 간단하고 명료했다.

아래는 그 줄거리

========================

언론사에 근무하는 기자이며 공산권의 쇼팽 음악원을 소개하기 위해 폴란드로 출장을 온 유성균이 취재를 도와줄 영화학도인 친구 민영수를 만나고 그를 통해 폴란드에서 유일한 한국 배우인 박운형을 알게 된다.

처음에는 작곡가 구레츠키와의 인터뷰에서 통역을 부탁하는 입장이었는데, 박운형의 모습에서 구레츠키와의 유사성을 느끼게 되고 점점 그의 내면세계에 호기심을 갖게 된다.

이러한 내면의 엿보기는 동일한 입장으로 다가오는데, 그들이 아우슈비츠를 방문한 후 집시가 경영하는 술집에서 폭발하는 박운형의 부르짖음은 광기의 발산이면서 이 극의 정점이다.
출처 : 이대학보(https://inews.ewha.ac.kr)

=========================================

광주는 그것을 겪은 세대이건 아니면 나중에 들으면서 자란 세대이건 끊임없이 재생산 될 것이다.

난 "강"이란 제목으로 끊임없이 시를 써오고 있다.

강을 끊임없이 재생산한다는 얘기다.

그래서 하는 말인데....

 

위 평에서도 강이 나오고 강을 건너는 방법도 나온다.

배를 타는 방법과 스스로 강이 되는 법

근데 왜 두 가지 뿐이지?

헤엄쳐서 건너는 방법, 날라서 가는 방법, 다리를 놓은 후 건너는 방법 등 아주 많다.

물론 비유로 하는 이야기지만 결국 정희진씨 말대로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얘기다.

 

오늘은 헨리크 구레츠키의 <슬픔의 노래>를 들어봐야 할 것 같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