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밑줄긋기

정희진 <혼자서 본 영화>

by 가제트21 2022. 11. 29.

정희진 <혼자서 본 영화>

 

고통이 고통스러운 것은 그것이 계속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인생에서 그 어떤 것도 계속되는 것은 없다. 모든 것은 변한다. 인생무상이라는 말은 인생이 허무하다는 뜻이 아니다. 인생에는 상(常)의 상태가 없다는 것, 즉 삶은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의미이다. 그것을 어찌 붙잡을 수 있겠는가.

<부패하지 않는 사랑은 없다 - 디 아워스 > 중에서 97 page

===================================================

사랑한다면,‘배용준’처럼

 남자의 삶에서 여자와 소통하기 위해 자아를 조절하는 기간은 연애할 때 몇 개월이 유일하다(여성들은 거의 평생을 남성을 위해 자신을 조절한다). <겨울연가>의 강준상은 이 법칙을 깬다. 준상은 드라마가 방송된 20회 내내 여성을 이해하기 위해 자신을 버리며, 여성으로 인해 행복해하고 아파한다. 이제까지 여성들만 해 왔던 관계 유지에 필요한 노동을 기꺼이 분담하고 여성과 대화할 능력이 있는 새로운 남성이다! 이를테면, 여성들에게 강준상은, 스스로 노동자가 된 자본가, 흑인 노예가 된 백인인 것이다. 2차 대전 이후 ‘회사 인간’(일본의 사회학자 오사와 마리가 쓴 《회사 인간 사회의 성》이라는 책이 있다)만을 겪어 온 일본 여성들은 말한다. “일본 드라마에서는 남자의 눈물을 본 적이 없어요.”
118-119 page

<겨울연가>는 드라마 수용에서 국민보다 젠더 범주가 더 강력함을 보여준 사례다. 일본 여성들은 <겨울연가>를 보는 동안 자신을 ‘일본인’보다는 ‘여성’으로 정체화한다. 이때 이들의 국가는 일본이나 한국이 아니라 ‘욘사마 나라’이다.
120 page

======================================================

남자의 삶에 대해 많은 사례를 연구하지 않고 쓴 글임에 분명하다.

연애할 때 몇 개월이 유일하다고 단정하다니...

평생을 통해 자신을 조절하는  남자도 허다하다.

뭐, 그건 그렇고 배용준처럼 생기면 뭔 짓(?)을 해도 멋있다. 아니 여자들이 뽕간다.

ㅎㅎㅎ

 

오래 전에 메모해 두었던 밑줄 긋기 글들을 조금씩 올려본다.

위 글은 2020년 2월 20일에 썼음.

잡다하게 쓴 메모를 정리하는 의미에서

그리고 다시 책 읽기를 시도하려는 마음가짐에서.

 

 

인터넷에서 가져온 <혼자서 본 영화> 앞면

 

댓글